반응형

 

'반세권' 평택·이천·용인, 미분양 무덤 전락…경기 전체 절반 차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으로 기대를 모았던 평택, 이천, 용인 등 이른바 '반세권(반도체+역세권)' 지역들이 심각한 미분양 문제에 직면하며 '미분양 무덤'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후광 효과를 믿고 일시에 대규모 공급이 몰린 것이 주요 원인으로, 이들 지역에만 경기도 전체 미분양 물량의 절반가량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미분양 매입 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4일 경기도가 공개한 4월 말 기준 지역·단지별 미분양 현황에 따르면, 평택시가 4855가구로 경기도 내 미분양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경기 전체 미분양(1만 2941가구)의 약 38%에 해당되는 수치입니다. 평택의 미분양 물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지난 5월 말 청약을 받은 '평택 브레인시티 10블록 앤네이처 미래도'의 경우 1순위에서 1396가구 공급에 단 96명만 신청해 대규모 미달 사태를 겪는 등 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천 역시 미분양 늪에서 허덕이고 있습니다. 4월 말 기준으로 1531가구가 여전히 주인을 찾지 못한 상태이며, 이천의 한 단지는 801가구 공급 중 618가구가 팔리지 않고 있습니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미분양 단지 사업주체들 대부분이 단지명 비공개 처리를 요구하고 있어, 미분양 단지 8곳 중 7곳의 단지명이 비공개 처리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용인시는 미분양 물량이 466가구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이 가운데 **80%인 377가구가 이른바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인 것으로 나타나 질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로써 평택, 이천, 용인 등 '반세권' 3곳의 미분양 물량을 합치면 총 6852가구로, 경기도 전체 미분양의 절반가량에 해당됩니다.

업계에서는 이들 지역의 미분양 해소를 위해 지원 대상 확대 등 다양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특수'라는 기대감으로 공급이 집중되었던 '반세권' 지역들의 미분양 심화는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또 다른 양극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해 보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